본문 바로가기
일상의 정보

누리호 3차 발사, 생중계

by *&^%66 2023. 5. 24.
반응형

이번 포스팅은 누리호 3차 발사, 생중계입니다.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 시간은 전날 한 차례 연기된 후  2023년 5월 25일 오후 6시 24분입니다. 누리호 3차 발사는 실용 위성 8개를 탑재하고 이를 우주 궤도에 투입하는 임무를 수행하게 됩니다.

 

누리호-3차-발사-시간-생중계-썸네일
누리호-3차-발사-시간-생중계-썸네일

 

목차

    누리호 3차 발사 시간, 장소

    누리호 3차 발사는 전날 기술적인 문제로 한 차례 연기되었으나  2023525일 오후 624분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될 예정입니다. 

     

    누리호 3차 발사 생중계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사이트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누리호 3차 발사 생중계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 유튜브 채널에서 시청할 수 있습니다. KARI 유튜브 채널 링크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ARI TV

    누리호 3차 발사 내용

    누리호 3차 발사는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발사체로, 실용위성을 우주로 보내는 첫 번째 발사입니다. 이번 발사에 성공한다면 한국은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일본,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7번째로 실용위성을 독자적으로 우주로 보낼 수 있는 국가가 됩니다. 또한, 누리호는 한국의 우주개발 역량을 세계에 과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누리호 3차 발사는 2023524일 한국시간 오후 624분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됩니다. 누리호는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3단형 우주발사체로, 202110211차 발사, 20226212차 발사에 이어 세 번째 발사입니다.

    누리호 3차 발사에는 8개의 위성이 실려 있습니다. 이 중 1.5톤급 위성 1기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개발한 차세대 소형위성 2호입니다. 나머지 7개의 위성은 국내 기업과 대학에서 개발한 위성입니다.

     

    탑재된 위성 8기의 종류와 임무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 3차 발사에 탑재된 위성 8기의 종류와 임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주탑재 위성 1: 차세대 소형위성 2

    • 독자 개발한 합성개구레이더(SAR)의 우주에서의 지구 관측 성능을 확인
    • 북극 해빙변화, 산림 생태변화, 해양환경오염 탐지

    2. 부탑재 위성 7:

    1) 도요샛 4기 (한국천문연구원)

    • 고도 500km의 태양동기궤도를 함께 편대비행
    • 6개월 간 우주날씨의 변화를 관측

    2) 져스텍 (저궤도 통신위성)

    • 저궤도에서 고정밀 위성항법시스템(GPS) 신호를 수신·중계
    • 위치추적, 자율주행, 재난·재해 예방 등에 활용

    3) 루미르 (우주 환경 감시 위성)

    • 우주 쓰레기, 태양풍, 우주 방사선 등 우주 환경을 감시
    • 우주 환경에 대한 안전성 확보

    4) 카이로 스페이스 (소형 위성 개발 기술 검증 위성)

    • 소형 위성 개발 기술을 검증
    • 향후 소형 위성 개발에 활용

    차세대 소형위성 2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KARI)이 개발한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180kg급 소형위성으로, 2023524일 누리호 3차 발사에 실려 발사될 예정입니다.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영상 촬영, 지구 자기장 관측, 전리층 관측 등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차세대 소형위성 2호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무게: 180kg
    • 크기: 1.0 x 1.0 x 1.2m
    • 궤도: 태양동기궤도 (SSO, Sun-Synchronous Orbit)
    • 임무: 영상 촬영, 지구 자기장 관측, 전리층 관측
    • 차세대 소형위성 2호는 한국의 우주개발 역량을 세계에 과시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차세대 소형위성 2호의 개발은 소형위성 개발 기술을 확보하고, 국내 우주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누리호 발사 역사

    1. 누리호 1차 발사

    누리호 1차 발사는 20211021일 한국시간 오후 420분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었습니다. 누리호는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3단형 우주발사체로, 1.5톤급 위성 1기를 궤도에 올리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누리호는 발사 후 순조롭게 비행을 했지만, 3단 엔진이 계획보다 46초 일찍 연소를 마치면서 위성모사체를 궤도에 올리는 데 실패했습니다. 누리호 1차 발사의 실패는 3단 엔진의 연소 시간 조절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으로 알려졌습니다.

     

    누리호 1차 발사의 실패는 아쉬웠지만, 한국이 독자적으로 우주발사체를 개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누리호 1차 발사의 실패를 보완하고, 2차 발사를 성공적으로 수행한다면 한국은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일본, 인도에 이어 세계에서 7번째로 실용위성을 독자적으로 우주로 보낼 수 있는 국가가 됩니다.

     

    2. 누리호 2차 발사

    누리호 2차 발사는 2022621일 한국시간 오후 444분에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발사되었습니다. 누리호는 한국이 독자적으로 개발한 3단형 우주발사체로, 1.5톤급 위성 1기와 7개의 큐브위성을 궤도에 올리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누리호는 발사 후 순조롭게 비행을 했으며, 1.5톤급 위성 1기와 7개의 큐브위성을 모두 궤도에 올리는 데 성공했습니다. 누리호 2차 발사의 성공은 한국이 독자적으로 우주발사체를 개발하고, 실용위성을 우주로 보낼 수 있는 능력을 확보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었습니다.

    누리호 2차 발사의 성공은 한국의 우주개발 역량을 세계에 과시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또한, 누리호는 한국의 우주산업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