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부모의 빛과 상속 포기 및 한정 승인"입니다. 상속의 복잡한 절차와 선택지, 상속포기와 한정승인의 의미, 그리고 법적 측면을 다룹니다. 부모의 상속을 고려하는 독자들에게는 유용한 정보로, 상속포기의 필요성과 절차에 대한 명확한 해설이 제공됩니다.
목차
1. 전부상속과 상속포기의 의미
상속을 받는 경우, 원칙적으로는 상속인은 상속 개시 시점의 상속재산과 함께 상속인이 상속하는 부채를 모두 상속받게 됩니다. 즉, 상속인은 상속개시자의 재산뿐만 아니라 부채도 함께 받게 됩니다. 이를 '전부상속'이라고 합니다. 그러나, 상속인이 상속을 취하거나 상속재산에 대해 법정상속분에 대한 상속포기를 선언하면, 상속재산과 상속부채를 모두 받지 않을 수 있습니다. 상속포기는 법원에 신고하면 됩니다. 부채만 빼놓고 받는 것은 어렵습니다.
'상속 개시 있음을 안 날'은 상속인이 상속이 개시되었음을 알게 된 날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상속인이 상속개시자의 사망을 알게 된 날이 '상속 개시 있음을 안 날'이 됩니다. 이 날로부터 상속인은 상속을 포기하거나 취하할 수 있는 기간이 시작됩니다.
2. 상속의 조건과 제약
상속은 재산과 채무 모두를 획득하거나 포기해야지, 상속인이 유리한 것만 선별하여 받는 것을 허용하지 않습니다.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이라 함은 상속개시의 원인이 되는 사실의 발생을 알고 이로써 자기가 상속인이 되었음을 안 날을 말합니다.
적극재산한도 내에서 부채를 책임지는 한정승인이 가능할 뿐입니다. 상속개시원인은 보통 피상속인의 사망을 안 날입니다.
3. 상속포기와 한정승인의 유효범위
상속포기로 적극재산과 소극재산 모두를 포기하거나 적극재산의 범위 내에서 소극재산을 책임지는 한정승인이 가능하지만, 적극재산만을 상속받기는 어렵습니다.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은 피상속인의 사망을 안 날입니다.
4. 상속 관련 주요 법조항
- 민법- 제1019조(승인, 포기의 기간): 상속인은 상속개시 있음을 안 날로부터 3월 내에 단순승인이나 한정승인 또는 포기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 기간은 이해관계인 또는 검사의 청구에 의하여 가정법원이 이를 연장할 수 있습니다.
5. 상속포기의 필요성과 절차
피상속인(=돌아가신 분)의 상속개시에 따라 상속이 개시될 경우 상속재산보다 상속채무가 더 많아 모든 상속인이 상속을 포기하고 법원에 상속포기 심판청구를 하여 법원에서 선고 결정이 되는 경우 상속재산 및 상속채무는 모두 포기됩니다. 이 경우 상속인이 상속포기로 인한 여 상속 재산 및 상속채무는 청산 후 잔여금액이 있는 경우 국가에 귀속됩니다.
6. 상속 관련 법률 지식
- 민법- 제1041조: “상속의 포기”란 상속인이 상속의 효력을 소멸하게 할 목적으로 하는 의사표시를 말하며, 상속의 포기를 하려면 가정법원에 상속포기의 신고를 해야 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1. 부모님이 사망하면 언제 상속포기를 해야 하나요?
피상속인의 상속개시가 발생한 날로부터 3월 내에 상속포기를 해야 합니다.
2. 상속을 받지 않고 싶은 경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상속포기를 원할 경우, 가정법원에 상속포기의 신고를 해야 합니다.
3. 상속의 유효범위는 어떻게 결정되나요?
상속포기로 적극재산과 소극재산 모두를 포기하거나, 한정승인을 통해 일부를 책임지는 방법이 있습니다.
4. 상속과 관련하여 가족 등록부의 변경이 필요한 경우 어떻게 처리하나요?
가족 등록부 등의 변경은 상속과는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상속포기나 한정승인을 고려해 보시기 바랍니다.
5. 상속포기를 하면 어떤 이점이 있나요?
상속포기를 통해 상속재산에 대한 권리를 상실하고, 상속채무에 대한 책임도 면할 수 있습니다.
'일상의 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통장압류 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 (0) | 2024.06.11 |
---|---|
연장근로, 야간근로, 휴일근로 수당 계산 방법 (0) | 2024.04.05 |
인감증명서 발급 방법 및 대리인 발급 시 필요 사항 (0) | 2024.04.02 |
성년 후견인 신청 방법 및 절차 (0) | 2024.03.26 |
지급명령 신청 방법 및 필요한 서류 (0) | 2023.11.16 |
댓글